(충남도민일보) 러 산업통상부는 러 정부기관·국영기업에 대해 2022년부터 외국산 장비를 활용한 화상회의 금지 법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러시아 업체 TrueConf, Videomost, Vineteo, IVA Technologies등 4개사가 화상회의 장비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다. TrueConf는 올해 러 정부기관 및 국영업체들에 러産 화상장비」를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TrueConf는 인텔 프로세서 장착 장비 판매 중(장비 가격 8만9천 루블)이나, 올 가을에는 Astra Linux S/W와 러 바이칼전자회사가 개발한 반도체(Bailka-M) 기반한 화상회의 전용 프로그램을 장착한 러産 화상장비 공급할 계획이다. 2019년부터 러 국가근위대가 인텔 프로세서 장착 TrueConf 화상회의 장비를 사용해오고 있고, 로스텔레콤 통신사가 동 장비 도입을 위해 테스트 중이다. 러産 장비는 외국産 대비 30-40% 가량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이 있으나, 러産 장비 수요가 적고 생산능력도 연간 4-5천대 수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출처 : 주 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핀란드 통신장비업체 노키아가 미국의 제재를 우려, 개방·지능형 무선네트워크 표준화 목적으로 구성된 'O-RAN Alliance'의 기술적 협력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O-RAN 얼라이언스는 개방무선접속 네트워크(Open RAN)에 대한 새로운 기술 디자인 및 표준화를 통해, 5G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특화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및 키트 판매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 협력 그룹이다. 유럽 주요 통신사는 Open RAN이 에릭슨, 노키아 및 화웨이 등 주요 장비제조사의 시장지배력을 제한할 것으로 기대, O-RAN 얼라이언스 활동에 적극 참여중이다. 이와 관련, 노키아는 O-RAN 얼라이언스에 참여중인 Kindroid, Phytium 및 Inspur 등 3개사가 중국 군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Kindroid와 Phytium가 화웨이와 함께 미국의 기업제재리스트(Entity List)에 포함되고, Inspur도 미국의 투자제한 대상에 포함된 점을 지적, 기술협력을 제한할 방침이다. Entity List에 등재된 업체와 특별 면허 없이 거래하는 기업에 대해 美 정부는 제재를 부과할 수 있으며, 노키아의 자체 분석결과 제재의
(충남도민일보) 김해시는 외교부 차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리바 강굴리 다스 인도 외무부 동아시아차관 일행이 31일 김해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방문단에는 디네쉬 K. 파트나익 인도문화교류위원회(ICCR) 사무총장, 스리프리야 란가나탄 주한인도대사, 소누 트리베디 주한인도문화원장이 함께 했다. 이번 방문은 최근 김해시와 인도 간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교류협력 활동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으로 차관 일행은 허성곤 김해시장을 면담하고 불암동 인도기념공원 내 추진 중인 김해인도문화교류관(김해인도박물관)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송유인 김해시의회 의장이 함께 했다. 업무협약식은 인도기념공원 내 교류관 건립과 관련한 것으로 김해시와 ICCR, 주한인도대사관 3자 간에 이뤄졌으며 협약서는 ICCR이 교류관에 전시될 유물, 시청각 자료 등의 공급을 지원하고 인도와 김해시의 문화교류와 자원활용에 대해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ICCR은 인도와 외국 간의 문화교류와 상호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인도 정부기관이다. 김해시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교류관 건립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식 이후 방문단은 김수로왕릉
(충남도민일보) 고양시 삼송수질복원센터(공공하수처리시설)에 지난 30일 페루 리마 상하수도공사 프란시스코 아폴로 덤블러 쿠야 이사장과 주한 페루대사 등 관계자들이 방문해 하수처리 시설을 견학했다. 이번 방문은 고양시의 상하수도 시설을 페루 리마시(市)에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 관계자는 고양삼송수질복원센터[시설용량 32,000(㎥/일)] 시설현황과 지하 하수처리시설 처리공정, 하수처리 재이용수 등에 대해 설명하고 상부 공원화 시설을 안내했다. 프란시스코 아폴로 덤블러 쿠야 이사장은 하수처리시설의 지하화, 슬러지 처리 및 재이용수 이용 현황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시 관계자는 “페루 리마시와 고양시가 상하수도 분야뿐만 아니라 도시와 도시간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 고양시]
(충남도민일보) 양평군은 지난 30일 양평행복플러스센터에서 양평형 노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공공·민간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양평군 노인 지역사회 통합돌봄 협의체’ 위촉식을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진행된 위촉식에는 위원장인 문화복지국장을 비롯해 보건·의료, 요양·돌봄, 주거 전문가 등 지역 내 다직종 다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석했으며, 위촉장 수여를 시작으로 그간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 추진경과 보고, 앞으로 추진 계획 및 방향 등을 공유하며 민간과 공공의 단단한 협력을 다짐했다. 통합돌봄 협의체는 문화복지국장을 비롯해 복지정책과, 지역돌봄과, 보건정책과, 건강증진과 부서장과, 의회 1명, 주거 전문가 1명, 보건·의료 전문가 2명, 요양·돌봄 전문가 2명, 학계 및 관련 시설·단체 대표 3명을 포함한 1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돌봄 협의체 위원들은 향후 어르신들이 자신이 살던 곳에서 편안하고 행복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상호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정동균 양평군수는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시설이 아닌 살던 곳에서 가족, 이웃, 지역사회와 함께
(충남도민일보) 남양주시는 지난 26일 국제자매도시인 캄보디아 캄퐁참주에 수제 마스크 200여 개와 크레파스 등의 학용품을 담은 ‘마음 나눔 상자’ 50여 개(약 1,050kg)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시는 재사용이 가능한 수준의 학용품을 선별·수집해 물자가 부족한 국제자매도시를 지원함으로써 자원 선순환에 기여하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손수 만든 마스크를 지원하며 양 도시 간 실질적인 교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나눔을 기획했다. 특히, 이번 나눔에는 남양주시 자원봉사센터와 청소년수련관이 함께 참여했으며, 시는 향후에도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제 민간교류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시는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 상황을 고려해 도착 시기가 불확실한 항공 배송 대신 지난 7월 해운으로 배송을 추진해 한 달여 만에 캄퐁참주에 물품을 전달했다. 캄보디아 캄퐁참주청 관계자에 따르면 학용품과 마스크는 캄퐁참주 내 5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전달될 예정이며, ‘마음 나눔 상자’를 받은 학생들이 동영상을 제작해 남양주시에 대한 고마움을 전할 계획이다. 캄퐁참주 언 찬다(Mr. Un Chanda) 주지사는 “코로나19 팬
(충남도민일보) 2021 서울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준비기획단(단장:서은지)은 평화유지활동 분야 최대 규모·최고위급 회의체인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21.12.7.~8, 서울) D-100 기념행사 및 금번 회의 서포터즈인 청년 피스키퍼 발대식을 8월 27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최했다. 이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 정부부처로는 최초로 SKT와의 협업하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이프랜드(ifland)’를 통해 행사에 참여했다. D-100 행사는 △환영인사 및 엠블럼 공모전 시상식, △청년피스키퍼 발대식, △D-100 축하메시지 상영, △베스트 비전상 발표 순으로 진행되었다. 행사에 직접 아바타로 참여한 서은지 준비기획단장은“그간 우리나라는 유엔의 3대 축인 개발, 인권, 평화안보 중 개발과 인권분야에서 중요한 목소리를 내어 왔으며, 금번 회의 개최를 통해 평화안보 분야에 있어서도 우리의 가시성을 제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우리나라의 유엔 가입 30주년을 기념하는 해에 아시아 최초로 국제평화안보 최고위급 회의가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것에 의미
(충남도민일보)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2일간 태국을 공식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장관은 8월 27일 오후 태국 「쁘라윳 짠오차(Prayut Chan-o-cha)」 총리를 예방하고, 양국관계, 코로나19 대응, 우리 기업·교민 지원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정 장관은 한국과 태국은 전통적 우방이자 전략적 동반자로서 그간 양국관계가 교역, 투자,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고 하고, 특히 2019년 정상 차원의 세 차례 상호 방문을 통해 구축된 양 정상간 돈독한 신뢰관계를 토대로 양국관계가 한 단계 더 도약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쁘라윳 총리는 문 대통령과의 긴밀한 협력관계에 만족감을 표하면서 한-태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특히 쁘라윳 총리는 한-태국 양국이 코로나19, 4차 산업혁명, 기후변화 등 다양한 도전과제에 함께 직면하고 있는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 미래산업 및 녹색 파트너십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정 장관은 태국 정부가 추진중인 「바이오-순환-그린(Bio-Circular-Green)」 경제발전 모델과 우리 정부의
(충남도민일보) 8.28(토)-29(일) 간 라오스를 공식 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장관은 8.28(토) 「살름싸이 꼼마싯(Saleumxay Kommasith)」 라오스 외교장관과 한-라오스 외교장관 회담 및 만찬을 갖고, 양국 협력방안 및 주요 지역·국제정세에 관해 심도 있게 협의하였다. 양 장관은 한-라오스 관계가 1995년 재수교 이후 교역, 투자, 개발협력, 인적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발전을 이룩해왔다고 평가하고, 양국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코로나19 상황을 보아가면서 라오스 고위인사 방한 등 상호 고위급 교류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제5차 한-라오스 정책협의회도 상호 편리한 시기에 개최하기로 하였다. 정 장관은 12.7-8간 서울에서 개최될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에 라오스 외교 및 국방장관이 참석해줄 것을 초청하는 한편, 지난 6월 체결된 한-라오스간 국방협력 MOU를 토대로 양국간 국방·방산 분야에서의 협력도 강화해 나가자고 하였다. 양 장관은 한-라오스 간 교역 및 투자 협력을 강화해 나갈 여지가 많다는 데 대해 공감하고, 투자 및 교역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 방안을 적
(충남도민일보) 영국산업연맹(CBI)은 제조, 유통, 운송 및 요식업 등 산업 전반이 노동력 부족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런 경향은 향후 더욱 악화할 것으로 우려했다. CBI는 운송업, 제조업 및 요식업 등 노동력 수급난의 영향이 조업 및 영업 단축 또는 중단, 서비스 축소, 슈퍼마켓 물품 부족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가 하반기 영업정상화 및 크리스마스 특수를 앞둔 재고비축 노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단기간 노동력 부족과 물류 차질은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운송업계는 봉쇄조치로 신규 운전자 교육이 위축되고, 올해 약 25,000명의 운송노동자가 영국을 떠나는 등 전례 없는 노동력 부족사태를 경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CBI는 반도체 부족에 따른 제조업 생산 차질과 코로나19 봉쇄조치 및 브렉시트에 따른 노동력의 영국 이탈 등이 노동력 부족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영국의 포스트 코로나19 경제회복세가 8월 주춤해진 가운데 CBI는 경제회복세 둔화의 원인이 전례 없는 노동력 및 원자재 부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CBI는 현 노동력 부족을 구조적 문제로 간주, 섹터별 위험요소 진단
(충남도민일보)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은 8월 27일 오후 마마두 가예 파예(Mamadou Gueye Faye) 주한 세네갈 대사, 샤피크 라샤디(Chafik Rachadi) 주한 모로코 대사, 알리 모하메드 마가시(Ali Mohammed Magashi)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를 각각 접견하여, 아프리카 3개국 순방 (8.15-21) 성과를 공유하고, 방문 후속 조치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최 차관은 금번 방문이 각 국과의 고위급 교류를 재활성화하고, 실질 협력 확대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면서, 방문시 협의한 사항들을 지속 이행하며 양자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자고 하였다. 특히, 최 차관은 3개국 대사 모두에게 오는 12월 서울에서 개최 예정인 유엔평화유지장관회의와 제5차 한-아프리카 포럼에 고위급 인사의 방한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세네갈 대사에게는 우리 진출 기업 활동 지원을, 모로코 대사에게는 한국전 참전용사 및 후손을 찾는데 모로코 정부의 협조를 당부하였다. 나이지리아 대사와는 조속한 시일내 제6차 한-나이지리아 공동위를 서울에서 개최하여 기니만 해상안보 협력 등 양자관계 강화 방안 등을 협의하기로 하였다.
(충남도민일보) EU와 미국은 9월말 양자간 통상 및 기술협력 확대를 위한 범대서양 무역기술위원회(TTC)를 공식 발족할 예정이다. 양측은 TTC 협의를 통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EU-미국간 공조를 확대, 특히 반도체 제조업 리쇼어링을 위한 각각의 노력을 통합하고, 외국인 투자심사 관련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특히 특정 투자 건 심사와 관련한 상호 의견교환 확대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TTC는 기술표준, 기후 및 청정기술, 공급망, 정보통신기술 보안 및 경쟁력, 정보 관리 및 플랫폼, 기술오용, 수출통제, 외국인 투자심사, 중소기업 지원, 국제통상과제 등 10개 소그룹으로 나뉘어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은 TTC 협상에서 개인정보 상호 이전 협정인 '프라이버시 쉴드' 무효화에 따른 새로운 개인정보 이전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정치적 합의 도출에 무게를 둘 전망이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충남도민일보)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과불화 화합물(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s)의 일종인 과불화카르복실산(perfluorocarboxylic acids, PFCAs)에 대해 REACH 부속서XVII 에 따른 제한물질 목록에 추가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발표된 규정에 따르면, 제한사항은 9 에서 14 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PFCA(C9-C14 PFCA) 물질 및 그 염 그리고 관련물질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긴 사슬(long-chain)‘의 PFCA는 고잔류성·고생물농축성(vPvB)으로 독성이 크며, 주로 과불화옥탄산(perfluorooctanoic acid, PFOA) 및 과불화헥산산(perfluorohexanoic acid, PFHxA)과 같은 ‘짧은 사슬(short-chain)‘의 PFCA 를 생산할 때 부산물로 발생된다. 제한물질로 등재됨에 따라, 2023년 2월 25일부터 유럽 역내 제조·수입자는PFCAs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완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없다. 단, C9-C14 PFCA 및 그 염의 농도가 25 ppb 미만이거나 관련물질 농도가 26
(충남도민일보) 중국 인터넷 정보 센터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6월까지 중국 네티즌 규모는 10.11억명을 달성했으며, 2020년 말보다 2,175만명 증가함. 인터넷의 보급률은 71.6%에 달했다. 2021년 6월까지 중국 농촌의 네티즌 규모는 2.97억 명으로 인터넷 보급률은 59.2%이었으며, 2020년12월보다 3.3% 상승함. 도시와 농촌의 보급률 차이는 19.1%으로 줄었다. 2020년 12월까지 중국 온라인 배달 사용자의 규모는 4억1,883만 명으로 2020년 3월보다 2,103만명 증가했으며 네티즌 전체의 42.3%를 차지한다. 2021년 6월까지 온라인 배달 사용자는 4.69억명에 달했으며, 2020년 12월보다 4,976만명 증가했다. 2020년 12월까지 중국 모바일 배달 사용자의 규모는 4억1,758만 명으로 2020년 3월보다 2,106만명 증가했으며 모바일 네티즌 전체의 42.4%를 차지한다. 2021년 6월까지 온라인 근무 사용자의 규모는 3.81억 명으로 2020년 12월보다 3,506만명 증가했으며, 네티즌의 사용률은 37.7%이었다. 2021년 6월까지 온라인 의료 사용자의 규모는 2.3
(충남도민일보) 방글라데시 섬유 및 의류 작업장 안전성 제고를 위한 이른바 '방글라데시 협정(Bangladesh Accord)'을 대체할 새로운 협정이 타결, 9월 1일 발효 예정이다. Primark, H&M 등 유럽의 주요 섬유업계가 참여한 '섬유 및 의류산업 건강 및 안전에 관한 국제협정'은 8월말 만료하는 기존 방글라데시 협정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1,100명의 희생자를 낳은 2013년 라나 플라자 화재 사건 이후 의류 업계는 노사간 협의를 통해 이른바 방글라데시 협정을 체결, 약 200여개 주요 의류업체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화재 등 작업장 안전을 강화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등은 이번 타결된 협정이 방글라데시 섬유 등 작업장 안전환경 개선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새로운 협정 참여 업체의 수가 관건이라고 강조, 기존 협정 미가입 업체의 신규 협정 참여 장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한편, EU 집행위는 10월 EU 기업 공급망실사 관련 법안을 제출할 예정으로, 공급망상의 환경훼손 및 인권침해 방지, 작업장 안전 등과 관련한 규제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이번 협정 타결로, 프랑스 및 독일에 소재한
(충남도민일보) 상하이 정부는 국제 금융센터 건설 14.5 계획에서 국제화, 시장화, 디지털화, 친환경화, 법치화를 5가지 핵심 키워드로 제정했다. 상하이 국제 금융센터 건설 14.5 계획에서 2개의 센터, 2개의 허브, 2개의 고지(高地)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자산 관리센터, 금융 과학기술센터 건설, 국제 녹색금융 허브, 위안화 콰징 허브 구축, 금융인재 고지, 금융 비즈니스 환경 고지를조성한다. 2035년까지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국제 금융센터 건설의 기초를 확립한다. 상하이 국제 금융센터 건설 14.5 계획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금융개방 확대와 금융 허브의 지위 제고, 전세계 투자자들의 상해 투자 활동 전개 편리화 - 팬더채권(해외기관 발행 위안화 표시채권), 목련채권(중국기관 발행 해외채권) 규모 확대 - 30년 만기 국채, REITs 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 상장 추진 - 국제금융 자산거래 플랫폼 설립, 디지털 위안화 시범 지역으로 다양한 방면에서의 응용 실험 - 상하이의 원자재 가격이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 강화 [출처: 상해증권보]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